top of page
  • KAIST OECP

“소비자가 선택하는 에너지 시장 온다”

2020 에너지 전망 토론회 열려…에너지 각계 전문가 참석 미래 에너지 시장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소비자 역할 강조

“4차 혁명시대의 에너지 변화는 언제 어디서나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다. 소비자가 원하는 에너지를 선택하고, 비교 판단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29일 열린 ‘2020 에너지 전망 에너지 시장, 가격, 기술 그리고 소비자 역할’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E컨슈머와 한국자원경제학회, 개방형 에너지클라우드 풀랫폼 연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이 토론회는 전통적인 에너지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중앙집중형 에너지에서 분산에너지로,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로 빠르게 바뀌어가는 미래 에너지 시장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소비자의 역할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를 비롯해 문수복 카이스트 교수, 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 송보경 E컨슈머 대표, 김영실 더콘텐츠메이커 대표, 임경희 한국소비자연맹 대구지부 회장 등이 패널로 참석해 미래 에너지 시장에 대해 토론했다.

우선 허은녕 교수는 ‘에너지, 미래디자인’을 주제로 발표했다. 허 교수는 “4차 혁명시대, 에너지도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유럽의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그리드를 예로 들었다.

허 교수는 “유럽은 이미 풍부한 풍력발전을 전력 공급에 활용하고 있다. 영국과 벨기에는 해상풍력발전으로, 노르웨이는 수력발전, 독일은 지상풍력 등으로 유럽 전역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풍력발전으로 100% 자급자족하고, 남은 전기를 수소로 저장, 선박연료로 활용하며, 화석연료 사용 제로를 달성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유럽은 기존 2차 산업의 석유, 가스를 활용한 전기 공급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등 이미 소비자의 선택지를 다양화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20년 현재 여전히 2차 산업혁명 시대, 전기와 가스, 석유시대에 멈춰있다고 허 교수는 주장했다. 단 하나 뿐인 전기요금제로 선택의 여지가 없고, 선불도 할부도 안 된다. 소비자의 소비패턴이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허 교수는 최근 재생에너지 요금제, 스마트 미터기 등 신규 시스템과 아파트‧마을 단위의 시스템 요금제 도입 등을 검토하는 등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허 교수는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보처리량, 즉 전기 소비량이 크게 증가한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허 교수는 “몇 년전,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대결에서 알파고의 에너지 소비량이 12GW로, 웬만한 발전소의 전기량을 소비했다고 한다. 즉.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과 정보통신 장비로는 4차산업혁명은 불가능해 혁신적인 에너지시스템 및 정보통신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수복 개방형 에너지 클라우드플랫폼 연구단 단장(카이스트 교수)은 에너지 저장 기술이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며 ‘에너지 클라우드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문 단장은 “현재 소비자는 한전이 공급하는 전기를 쓸 것인지 안 쓸 것인지를 선택했지만 2030년이면 다양한 에너지원을 소비자가 고르는 방식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다양한 에너지원의 저장 능력’이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현재 연구 중인 차세대 에너지 서버를 소개했다. 문 단장은 “슈퍼캐퍼시터, 이차전지, 수전해‧연료전지를 통합해 용량에 따라 부하 추종이 가능한 차세대 복합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 토론회에서는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소비자들이 서비스가 충족된다면 에너지 요금이 오르더라도 수긍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나라는 한전의 일방적인 공급에 의지하고 있고, 이와 같은 상화에 큰 불만을 갖고 있지 않다. 때문에 전 세계가 다양한 에너지원을 공급하게 경쟁을 통해 가격, 서비스 개선에 적극적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에너지 환경이 크게 발전했지만, 공급 방식에는 전혀 발전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일본도 전력 소매시장을 전면 개방해 소비자에서 선택권을 줘, 가격 경쟁을 통해 공급가격을 낮추는 등 소비자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한 이 본부장은 “우리나라도 소비자의 권리를 적극 요구할 때다. 에너지 규제완화와 공급방식 선택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개재하는 등 소비자들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제공이 주어진다면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각오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스마트폰 요금이 한 가족당 20만원이상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용한 서비스 제공 덕분에 크게 불만 없이 비용을 내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도 싼 에너지 요금이 아닌 전력망을 통한 무료 보완 서비스 등 편리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은 감수해야할 것이다”고 조언했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www.energy-news.co.kr) 링크 : http://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625

조회수 43회
bottom of page